티스토리 뷰






"바르고 예쁜 손글씨"


한글의 자음과 모음은 결합 위치에 따라 모양이 조금씩 달라집니다. 


예로 "ㄱ"은 "ㅣ" 앞에 들어갈 때와 "ㅡ" 위에 들어갈 때, 받침을 사용될 때 등 각각 다른 모양이 됩니다.

하지만, 글씨를 못 쓰는 사람에게

그때그때 다른 모양의 자음을 쓰게 한다는 것은 무리한 요구겠죠?


결합하는 방법을 알고 나면 처음에는 힘들겠지만,

꾸준히 정성을 들인다면 글씨가 훨씬 수월할 것이에요.




자음과 모음의 균형.


첫째, 자음과 모음의 위아래 길이를 1:1로 맞춘다.

보통 명조체, 궁서체 등 정자체는 모음 길이가 자음의 3배 정도로 길게 써야 합니다.

그리고 자음과 모음의 키가 같으면 일단 글씨가 가지런해 보입니다.


둘째, 자음과 모음을 최대한 밀착시키는 것이다.

글자와 글자 사이도 최대한 붙여서 씁니다.

그래야 중간중간 못 쓴 글씨가 나와도 묻혀서 넘어간답니다. 단, 띄어쓰기는 확실하게 하세요! 


세 번째, 받침을 작게 쓰는 것.

글씨를 못쓰는 사람일수록 글씨 크기를 못 맞추기 때문에 지저분해 보인답니다.



이 세 가지만 활용해도,

글씨 유형이 일정해져서 써 놓은 글씨가 깨끗해 보입니다.


글씨 연습의 원칙 중에 "크게 배워서 작게 써라" 라는 것이 있어요.

왜냐하면 처음부터 작게 연습을 하면 크게 쓸 때 글씨체가 흐트러지기 쉽기 때문이에요.




좋은 글쓰기의 예시.


글씨 기둥 역할을 하는 "ㅣ"는 쓰기 시작할 때 힘을 주고 점차 힘을 빼면서 퉁기는 기분으로 긋는다.

"ㅡ"는 처음부터 끝까지 일정한 힘을 줘 긋는다.


"ㄱ"과 "ㄴ"은 꺾이는 부분을 직각으로 하지 말고 살짝 굴러줘야 글씨를 부드럽게 빨리 쓸 수 있다.

"ㅇ"은 글자의 얼굴이기 때문에 크게 쓰는 것이 중요하다.


작게 쓰면 글씨가 더욱 지저분해 보이는데 한몫을 한다.

글씨를 이어 쓸 때는 옆 글자와 키를 맞춰줘야 하고 빨리 쓸 때는 글자에 약간 경사를 주면 된다.


이때, 가로획만 살짝 오른쪽 위로 올리고 세로획은 똑바로 내려 긋는다.




좋은 글쓰기 습관은 미리미리!


시각적 요소인 글씨는 논술시험에서 내용과 구성, 논리 전개와 같은 채점 요소는 아니지만,

감점 요인이 되는 현실에서 보기 좋은 글하나의 경쟁력이라고 생각합니다.

댓글